카테고리 없음

유두 습진

강남하라비한의원 2011. 2. 12. 10:56

유두습진의 다른 부위의 습진, 예컨대 손가락 습진보다는 치료가 쉽게 됩니다. 이유는 유두는 다른 피부와 달리 액체나 고체의 노폐물(습담)을 배출하기 좋은 곳이기 때문입니다.  습진이란 병리증상이지만 그러나 이러한 병리증상도 습담을 배출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기 때문에 양약으로 치료될 수 없는 자가면역증상인 것입니다. 물론 스테로이드로 일시적으로 습진을 가라앉힐 수는 있지만 습진의 근본 원인인 간을 편하게 해주지 않으면 스테로이드식의 임시치료는 오히려 습진의 범위와 강도를 더 확대시킬 뿐입니다.

 

유두의 피부조직이 피부의 모세혈관이 발달하고 액체나 고체형태의 습담을 내보내기 좋기 때문에 습진의 기본병리와 일치하는 부분이 있어서 다른 피부의 습진보다는 비교적 십게 치료된다는 것입니다. 비슷한 예를 들어본다면 입술꼬리에 염증이나(구각미란증) 음부부위의 염증이 잘 치료되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인 것 입니다. 그러나 극심한 전신 아토피로 인하여 아토피 증상이 유두까지 확대된 경우나 오랜 기간동안 스테로이드로 인하여 유두습진이 굳어진 경우에는 생각보다는 쉽게 치료되지는 않습니다. 이는 병이 그만큼 깊기 때문입니다.

 

모든 자가면역 피부질환이 그렇듯이 일단 증상이 나타나면 외부적인 자극은 일단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그 자극에 의하여 병증이 더 깊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가면역질환에 피부에 좋다고 하여 피부에 바르는 양약 혹은 한약 혹은 피부를 부드럽게 하기 위한 각종 크림류는 최대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종류의 외부약 혹은 화장품이든 외부에 바르는 것은 마치 하수구의 출구를 잠시 막아 놓는 것과 같은 효과로 잠시 증상을 보기 좋게 할 뿐 결국은 증상을 더 악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아래 사례는 환자의 중요한 증상이 소화기 증상과 몸냄새인데 같은 병리로 유두습진을 겸하고 있었던 경우에서 유두습진에 촛점을 맞추어 기록한 것입니다. 위에서 말한 병리를 생각하면서 읽어보시면 앞뒤가 잘 맞아 들어갈 것입니다.

 

1. 인적사항
ㄱ   0   0, 여, 28세

주소 : 서초구
직업 : 전문직
용모 : 갸름하고 얼굴피부가 깨끗한 미인이나 표정이 만성 피로로 인하여 어두워보인다.

 

2. 주소
소화기증상(역루성식도염, 복부팽만, 잔변감, 까스, 과민성 대장증후군 등) 으로 여러 양/한의원을 두루 다니고 있다.

생리불순

유두습진(진물 가려움 피부 각질)

발에도 습진이 있음.

 

3. 부수증상및 진단지표

몸냄새
수족 냉증

초록색 변을 자주 본다.

피로(만성피로 증후군) 

안충혈

보라빛 다크써클 등

 

맥 : 삭(108/1분), 부, 실, 미대, 약

설 :  약간의 지도설, 질자, 박백

흉복 :  명치 부위가 매우 아프다.

          양 복직근이 매우 단단하다.

                    
4. 변증
간허
심소
비소
폐약
신평

5. 병리

간허로 인하여 습담의 생산이 많고 심폐가 약하여 상초에 습담이 몰린 것이 상초(가슴)열로 인하여 유두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습진이 생긴 것임.

 

6. 치법
거습담

보간

행혈거어

 

7. 투약및 결과

1차 투약
거습담과 거어가 주

1차 결과
속이 편해져 더 이상 병원에는 가지 않고 있다. 입맛도 살아나고 소화도 잘된다. 구체적으로 더부룩한 것은 나아졌는데 까스는 여전하다. -> 이 이유에 대해서는 독자들이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중간에 간염예방주사를 맞았다. -> 이 자체는 간을 더욱 피로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초로색 변을 보지 않는다.

맥박수가 108회에서 88회로 줄었다. 그만큼 심장이 안정화 되었다는 말이고 몸안의 염증이 줄었다는 뜻.

명치압통이 줄었다. -> 역류성식도염이 그 만큼 나았다는 뜻.

양복직근이 단단한 것이 풀렸다. -> 대소장의 만성 염증이 줄었다는 뜻.

 

유두습진은 다 나았다. 가끔 간지럽기는 하나 간지럼은 금방 없어지고 각질은 없다. 

그러나 발은 모르겠다.


2차 투약
나머지 증상으로 추가 복약은 5차 정도 더 할 것임.

2차에는 거어제를 조금 줄이고 활혈제와 발산제를 조금 가미했음.

 

현재 투약 중임.

 

[출처] 강남할아버지한의원(www.harabiclinic.com